고등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대학
[베리타스알파=신승희 기자] 국민대 대학일자리센터는 재학생, 졸업생의 글로벌 취업역량 향상을 위한 단기 교육 프로그램을 15일부터 29일까지 약 2주간 운영한다고 8일 전했다.
프로그램은 고학년, 졸업생에게는 국내기업의 대졸 신입 공채 규모 축소에 따라 얼어붙은 취업 시장에서 수시, 상시 채용이 보편화된 외국계 기업 취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구직 스킬 향상 그리고 저학년에게는 직무 중심의 채용 트렌드에 기반한 취업목표 조기 설정 및 재학 기간 중 체계적인 역량 관리 계획 수립을 돕고자 기획됐다.
교육 구성은 코로나 시국을 고려하여 온라인 실시간 화상 교육과 1:1 개별 컨설팅이 온오프믹스 형태로 진행되며 취업을 목전에 두고 있는 고학년과 졸업생에게는 화상 모의 영어 인터뷰 응시 및 피드백 기회도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면접 자신감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국민대 취업지원센터 담당자는 “여러모로 취업이 어려운 시점은 맞지만 뚜렷한 직무 목표를 바탕으로 관련 준비를 체계적으로 해왔다면 취업 기회는 언제나 있기 마련이다”며 “대기업만을 바라보는 편향된 시각을 버리고 본인의 직무 비전에 기반한 다양한 취업 경로가 있음을 받아들인다면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취업 기회를 가져갈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
*자료=국민대
원문보기: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38455
※ 이 기사는 본교에서 작성하고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학술의 심오한 연구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통해 건전한 정신과 이상을 배양시키고자 한 것이다. 국민대학교가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것은, '생활상 사정의 소치로 주간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허다(許多)한 구학(求學)의 청년에게 최고 학술을 연구하는 기회를 주어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는데 있었다. 이 점에서도 국민대학교는 '국민의 대학'이자 '민족의 대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