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고의 기업가 정신 대학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가 지난 11월 14일(금) 오후 국민대 학술회의장에서 반기문 前 UN 사무총장을 초청하여 특강을 진행했다.
국민대 글로벌평화 · 통일대학원 주최로 진행한 이번 행사에는 정승렬 총장, 김형진 원장을 비롯한 교수 및 대학(원)생 약 300여명이 참석했다.
반 前 사무총장은 『기후위기와 시민의 역할』를 주제로 학생들에게 도전의 메시지를 전했다. 특히 “기후변화 ·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제협력을 토대로 지속가능한 발전 계획을 세우고, 이것을 미래 세대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인류가 마주하는 여러 문제 중 하나인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일이 지금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고 전 인류의 존재에 꼭 필요한 일이기에 탄소중립에 대한 정책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행사를 담당한 국민대 글로벌평화·통일대학원 여현철 교수는 “현재의 남북관계는 다시 시작해야하는 ‘제로’의 시기”라며 “한반도에서의 우발적 무력 충돌 위험을 낮추는 방책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인류의 공동 운명이 걸려 있는 기후위기를 대응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국내·외에서 외교 분야 전문가로 잘 알려진 반 前 총장은 대통령 외교안보 수석비서관 · 제33대 외교통상부 장관 · 제8대 UN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뒤 현재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반기문재단 이사장 및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명예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케임브리지대·싱가포르국립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학술의 심오한 연구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통해 건전한 정신과 이상을 배양시키고자 한 것이다. 국민대학교가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것은, '생활상 사정의 소치로 주간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허다(許多)한 구학(求學)의 청년에게 최고 학술을 연구하는 기회를 주어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는데 있었다. 이 점에서도 국민대학교는 '국민의 대학'이자 '민족의 대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