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대학
△사진=이상헌 국민대 자동차IT융합학과 교수
국민대학교(총장 유지수)는 지난 1월 25일에 개최된 한국CDE(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자동차IT융합학과 이상헌 교수가 제 14대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한국CDE학회는 1995년 설립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다학제간 IT융합 학회로 기계, 자동차, 조선, 산업, 건축, 의료, 국방,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기술(IT) 전문가들로 구성되어있다. Industry 4.0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의 효율적인 생산 및 사용을 위한 정보기술(IT) 응용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확산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매년 한·중·일 공동 국제학술대회(ACDDE) 개최와 영문저널 「JCDE」 등을 발간하는 등 활발한 국제학술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에 회장으로 선출된 이상헌 교수는 서울대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3차원 형상 모델링 분야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CAD(Computer Aided Design)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시키는데 커다란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민대에 GM PACE(Partners for the Advancement of Collaborative Engineering Education) 센터를 유치하여 자동차-IT융합 교육을 통해 우리나라 미래 자동차산업을 이끌 핵심인재를 양성하는데 힘쓰고 있다. 현재 국민대 자동차기술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다.
순번 | 언론사 | 제목 |
---|---|---|
1 | 서울경제 | 제14대 한국CDE학회장에 이상헌 국민대 교수 |
2 | 전자신문 | 이상헌 국민대 교수, 한국CDE학회 회장 선출 |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학술의 심오한 연구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통해 건전한 정신과 이상을 배양시키고자 한 것이다. 국민대학교가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것은, '생활상 사정의 소치로 주간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허다(許多)한 구학(求學)의 청년에게 최고 학술을 연구하는 기회를 주어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는데 있었다. 이 점에서도 국민대학교는 '국민의 대학'이자 '민족의 대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