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대학
Asso. Prof. Dr. David William Kim
대한민국 외국인교수협회 (National Association of Foreign Scholars in Korea: NAFSIK)는 국내 200여개의 대학(서울, 대전, 광주, 대구, 포항, 울산, 부산, 춘천, 목포, 인천 등)에 재직중인 외국인 교수들로 구성된 전문학술단체로 국회 (교육위원회), 외교부 (한국국제교류제단), 교육부 (대학교육), 통상자원부, 한국연구재단와 협력하여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연구개발에 외국인교수도 함께 공유할 수 있게 전문조언을 하므로 K-Academic의 국제화를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임원으로 서울대학교 Alena Kulinich 교수, 연세대학교 Chammah Judex Kaunda 교수, 서강대학교 Doruk İriş교수, 이화여자대학교 Heather Willoughby교수가 있다. 아래는 공식 웹사이트에 소개된 일부 정보를 소개하고 있다.
The primary aim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Foreign Scholars in Korea (NAFSIK) is to become a professional platform for non-Korean scholars teaching and conducting research at various universities in Korea. At present, there are approximately 1000-3000 foreign academics including PhD candidates in Korea (20~50 scholarsx203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ir research works are significant in the concept of K-academia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Korea. However, the academic conditions of foreign scholars are not often visual and recognised. The fact that they are usually isolated with the lack of support from universities, causes the discontinuation of research in Korean universities. It also affects the long term plan of Korean government for the global influence.
The new National Association (NAFSIK) is composed by a group of scholars, researchers and PhD students interested in any subject area, including Korean Studies, Humanities, Social Sciences, Arts, Science, Engineering, and Medicine. The NAFSIK, as a multidisciplinary academic organisation, is also open to Korean scholars who are able to exercise their research in English. One of the roles of the NAFSIK, therefore, is to become a professional bridge between the foreign scholars working in Korea and the Korean government (the state agencies), in order to communicate and develop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globalisation of Korean Studies or research from Korea. If you are interested, please join with us. For more details, please see https://sites.google.com/view/nasfik/home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학술의 심오한 연구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통해 건전한 정신과 이상을 배양시키고자 한 것이다. 국민대학교가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것은, '생활상 사정의 소치로 주간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허다(許多)한 구학(求學)의 청년에게 최고 학술을 연구하는 기회를 주어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는데 있었다. 이 점에서도 국민대학교는 '국민의 대학'이자 '민족의 대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