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대학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대학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인문계 학생들은 융합교육을 통한 기술력 습득으로 잠재된 창의성을 이끌어 내야하고, 이공계 학생들은 본인의 전공을 더욱 심도있게 연구하여 전문성을 키워 나가야 합니다.” 국민대학교 유지수 총장은 지난 19일 밀레니엄 서울 힐튼 호텔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리더스 조찬 포럼’에서 이와 같이 강조했다.
또한 유 총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문·기술·예술이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무엇보다 남들이 생각해내지 못하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창의성이 중요해졌다”며 “일방향의 전달식 강의가 아닌, 현장 중심의 체험 교육과 전문가들의 멘토링 및 컨설팅을 통해 학생들의 실무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대학이 해야 할 일이며 국민대가 앞서서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날 포럼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 호 어디로 가야 하나?’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국민대학교와 클린콘텐츠국민운동본부가 후원하고 국제미래학회, 미래창의캠퍼스, 아이뉴스24가 주최하였다. 유지수 국민대 총장을 비롯하여 진대제 전 정통부 장관, 강석진 CEO 컨설팅 그룹 회장, 안양옥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등 60여명이 참석하였다.
진대제 전 정통부 장관은 이 날 강연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는 성숙·노화기로 그 경쟁력이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디자인 분야의 역량 강화를 통한 차별화,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닌 전문가 육성 및 소통과 창의를 위한 토론문화의 정착 등 다양한 각도에서의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한 편, 다음 달에 개최되는 4차산업 리더스 조찬포럼은 6월16일 오전7시 힐튼호텔 3층 아트리움에서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는 어떻게 양성해야 하나?'는 주제로 열릴 계획이다.
순번 | 언론사 | 제목 |
---|---|---|
1 | 매일경제 | "4차 산업혁명, 대학역할 중요"…국민대 총장 리더스포럼 연설 |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학술의 심오한 연구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통해 건전한 정신과 이상을 배양시키고자 한 것이다. 국민대학교가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것은, '생활상 사정의 소치로 주간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허다(許多)한 구학(求學)의 청년에게 최고 학술을 연구하는 기회를 주어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는데 있었다. 이 점에서도 국민대학교는 '국민의 대학'이자 '민족의 대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