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대학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 총동문회가 지난 10월 31일(금) 서울올림픽파크텔에서 제42대 총동문회장으로 김형남 동문을 공식 선출했다.
신임 김형남 회장은 국민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을 거쳐 금융감독원 대전지원장과 인력개발실장을 역임하며 공직 사회에 봉사했다. 이후 삼성선물 상근감사, 하나자산신탁 상근감사위원을 지냈으며, 현재 다올투자증권 상임감사를 거쳐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법과대학 동문회장과 총동문회 상임자문위원을 역임하며 동문 사회에 기여해 왔다.
이번 취임식에는 정승렬 총장을 비롯한 보직 교수단과 윤종웅 前 하이트진로 대표, 박맹우 前 울산광역시장 등 200여명의 동문이 참석했다.
김형남 회장은 제38대부터 41대까지 8년간 헌신적으로 동문회를 이끈 박해진 전임 회장에게 감사패와 기념품을 전달하였으며, 전임 회장의 업적을 계승해 총동문회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형남 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지난 8년이 '화합'을 통해 동문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결집의 시간이었다면, 앞으로의 42회기는 모은 힘을 바탕으로 '소통하고 상생하는 활기찬 총동문회'를 만드는 혁신의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모교가 AI, 양자보안 등 미래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거듭하는 만큼, 동문회는 모교의 비전이 사회적 결실을 맺도록 실질적으로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아카데미즘은 '최고 수준의 학술연찬', '최고 권위의 진리탐구'라는 목표와 함께 ‘최고 교육의 보편화'라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즉 국민대학교의 아카데미즘은 학술의 심오한 연구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라,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통해 건전한 정신과 이상을 배양시키고자 한 것이다. 국민대학교가 야간대학으로 출발한 것은, '생활상 사정의 소치로 주간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허다(許多)한 구학(求學)의 청년에게 최고 학술을 연구하는 기회를 주어 최고 교육의 보편화를 추구'하는데 있었다. 이 점에서도 국민대학교는 '국민의 대학'이자 '민족의 대학'인 것이다.